블록체인 기반 온라인투표시스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온라인투표 서비스란?
선거관리위원회가 이용을 승인한 기관, 단체에 대하여 PC와 휴대전화 등 이동통신단말장치를 이용하여 모바일·웹환경에서
투표 및 개표를 실시할 수 있도록 온라인투표시스템(K-Voting)을 지원하는 서비스 입니다.
유권자의 투표참여율 제고
- 생활친화형 디지털기기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편하고 정확하게 투표할 수 있으므로 선거관리 업무의 효율은 물론 투표 참여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PC
PC를 이용한 웹투표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모바일을 이용한 웹투표일반휴대폰, 스마트폰
SMS를 통한 문자투표
현장투표소
특정장소에서 PC를 통해 투표
다양한 투표방식 지원
대표자 선출 및 안건 투표를 위해 유권자의 의사를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선택투표는 물론 다양한 대안투표 방식을 지원합니다.
찬반 투표
안건 또는 후보자에
대한 찬반 선택선택 투표
안건 또는 후보자를 선택
선호 투표
안건 또는 후보자의
순위를 선택척도 투표
안건에 대한 척도를 선택
점수 투표
안건 또는 후보자에게
점수를 입력
투·개표의 안전성·신뢰성 보장
- 정확성 모든 정당한 유효투표는 투표결과에 정확히 집계됨
- 확인성 투표결과 위조방지를 위한 투표결과 검증수단 확보
- 완전성 부정투표자에 의한 방해 완전 차단
- 단일성 투표권이 없는 유권자 투표참여 불가
- 합법성 정당한 투표자는 오직 1회만 참여가능
- 기밀성 투표자와 투표결과의 비밀관계 보장
- 공정성 투표 중의 집계결과가 남은 투표에 영향을 주지 않음
블록체인 기술 적용
온라인투표시스템에 블록체인*참조1기술을 적용함으로써 보안성·신뢰성 강화
중앙 서버 외 다수 노드**참조2의 블록에 투표데이터 등 실시간 분산 저장
블록 간 연결이 해쉬함수로 되어 있어 투표데이터 등 위·변조 불가
데이터베이스와 각 노드 간 투표데이터 및 개표 결과 비교·검증 가능
- 블록체인(Blockchain security technology) : 체인 형태로 무수히 연결된 ‘블록’이라는 분산 데이터 저장 환경에 관리 대상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누구도 임의로 수정할 수 없음.
- 노드(Node) :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개개인의 서버

- ※ 블록체인 기반 온라인투표시스템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블록체인 공공분야 지원사업’으로 선정·구축되었습니다.